Sat, April 1, 2023    전자신문보기
비로소 꿈 꾸는 세상

06/30/21       박효숙컬럼

비로소 꿈 꾸는 세상


가족들과 모여 저녁밥을 먹고 있는데 아무 연락없이 시어머님이 들어오셨습니다갑작스러운 방문에 놀라 어머니무슨 일이세요?  식사하셨어요? 하고 여쭈었습니다“보고 싶어서 왔지밥은 먹고 왔다” 하셔서“그럼소파에 앉아 잠시만 기다리세요이제 저희들 저녁 다 먹었어요. 하고 먹던 밥을 얼른 먹고식탁을 치우고 어머니를 맞았습니다그런 일이 있고집으로 돌아가신 지 하루도 안 지났는데큰 아주버님이 남편에게 전화를 하셨습니다“아니어쩌면 엄마 식사도 안 드리고 가시라고 할 수 있어실망했네엄마는 지금 동생 집에 다녀온 후로 누워서 일어나지도 않고 속상해하고 계시네.

 오십 대로 보이는 내담자는 얼굴에 수심이 가득한 채 계속 이야기를 이어갔습니다그런 일이 있고남편은 남편대로 형님이 실망했다는 말에 억울해서 속상해하고 있고자신은 “나쁜 년시어미에게 밥 먹으라고도 안 해! 라며드러누워 계신다는 시어머니가 생각나 음식이 넘어가지 않는다고 했습니다

 너무 기가 막혀서 말도 안 나온다고 했습니다시어머니와 자신둘만 있었던 것도 아니고남편도 아이들도 “보고 싶어서 왔지밥은 먹고 왔다” 라고 분명히 말씀하셨는데억지를 쓰셔도 너무 억지를 부린다는 생각에 화가 나서 견딜 수가 없다고 했습니다.  이 같은 사례는 고부간의 갈등을 빚고 있는 가정에서 흔히 발생하는 이중 메시지(double message) ‘사례입니다이중 메시지는 하나가 다른 하나를 부정하는 이상의 모순된 메시지를 전달하는 의사 소통 상의 딜레마를 말합니다여기 저기를 묶어 놓는다고 하여, ‘이중구속(double bind)’ 이라고도 합니다

 이중 메시지의 핵심은 통제입니다겉으로는 “보고 싶어서 왔지밥은 먹고 왔다. 라고 말하면서 속으로는 “얼른 내 밥상도 차려내라.”고 말하고 계시는 것입니다상대가 알아서 내가 원하는 대로 행동해 주길 원합니다진짜 의도는 숨긴 채 상대를 위하는 척말로 포장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겉으로 드러나는 말의 메시지와 말 속에 있는 메시지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혼란을 야기합니다이러한 역기능적 의사소통은 특히 가족이나 가까운 관계 안에서정서적으로 고통을 안겨 줍니다.

 

 알아차리지 않으면이중 메시지의 부정적인 역기능적 관계패턴은 세대가 거듭될수록 점점 심화되어 갑니다그리고 다음 세대에 전수되면서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게 됩니다현장에서 이중 메시지를 오랫동안 연구한 베이트슨은 이중 메시지를 사용하는 환경에서 ‘조현병(정신분열증) 이 발생한다고 발표한 바 있습니다부모와 자녀관계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견되는 이중 메시지는 부모와 자녀 사이의 갈등을 증폭시킬 뿐만 아니라자녀를 지속적으로 불안한 상태에 처하게 만들어서 다음 세대로 갈 수록 정신적인 문제를 초래하게 됩니다그래서 이중 메시지를 ‘미치게 만드는 대화법’이라고도 합니다.

 

좋은 관계를 위해서는 서로의 노력이 필요합니다특히 진심으로존중하는 마음으로솔직하게 표현하려는 노력이 중요합니다당장은 서로의 마음이 전달되지 않는 것 같아 안타까울 때도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진심은 진심과 맞닿아통하게 되어 있습니다

 

“집 찾아오느라 지쳤어배도 고프고 힘드네. 라고 말하고 연락 없이 불쑥 찾아와서 미안하네손주들이 너무 보고 싶어서 미처 다른 생각을 못했네” 라고 솔직하게 표현하셨다면어떻게 되었을까요? 상황이 많이 달라졌을까요어른들은 이런 솔직한 대화가 무척 어려울 수 있습니다그렇게 평생을 살아오셨기 때문입니다

 엄청난 에너지를 요구하는쉽지 않은 방법이지만 갑작스러운 시어머니의 황당한 방문을 환영해드리고나중에 천천히 분위기가 좋아진 후에 “오시느라 힘드셨지요다음에 오실 때 오신다고 연락하시면모시러 갈게요. 하며“너무 분주히 사느라 어머니를 알뜰히 살펴드리지 못해 늘 죄송해요. 하고 서운한 마음을 따뜻하게 짚어 드리면 어떨까요 당장은 풀릴 것 같지 않은 문제지만 어느 기분 좋은 날살아 계심에존재 자체에 대한 감사한 마음을 가지고자신의 생각을 허심탄회하게 풀어놓고 진심을 나눈다면어떨까요?

 가족관계소통이 중요합니다서로 연합하여 화목하는 것우리 모두의 미션입니다지금 닥친 이 미션을 수행하기 위해 우리가 꼭 짚고 넘어가야 할 부분이 있습니다자기 자신이 스스로 부지불식 간에 사용하는 이중 메시지가 있지는 않은 지 살펴보는 것입니다두려움 때문에불안 때문에 스스로를 지키기 위해 방어기제로 이중 메시지를 사용하지 않았는지 알아차리는 것입니다알아차림은 스스로가 행복해지는 방법이고자신과의 관계회복을 위한 필수 요건입니다.

 상대의 문제로 치부하기에 앞서바로 자신이 이중 메시지의 핵심인물은 아닌지먼저 자신을 탐색해 보는 시간을 가지는 것입니다상대의 이중메시지를 예민하게 읽어내는 능력은 내재되어 있는 자신의 그림자입니다그리고 당장은 피해자인 것 같아 보이지만 피해자가 곧 가해자가 되고가해자가 곧 피해자가 되기 때문입니다.  

 관계우리 모두의 화두입니다모든 사람과 다 좋은 관계를 유지할 필요는 없습니다그러나 알아차림을 통해 자신과의 관계회복이 이루어지면어떤 사람과 건강한 관계를 지속해야 하는지에 대한 분별력이 생겨나고평안이 생기고비로소 꿈꾸는 세상이 눈 앞에 펼쳐지게 될 것이라 믿습니다.   

  

페이팔로 후원하기

인기 기사
최신 댓글

170-04 Northern Blvd. #2Fl. Flushing, NY 11358
Tel: 718-414-4848 Email: kidoknewsny@gmail.com

Copyright © 2011-2015 기독뉴스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Intonet Solu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