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해, 임인년(壬寅年)의 첫 주가 끝나간다. 시작이 반이라 했던가. 2022년도 이미 반은 지나가지 않았을까. 세월의 빠름은, 지나온 과거를 돌아보면 알 수 있다. ‘으앙’ 하고 세상에 갓 태어난 아이들이 큰 아이는 40이 넘었고 작은 아이는 40에 가깝다. 이젠 부모와 함께 늙어가는 셈이다. 금년에 주어진 임인년의 시간과 날들을 어떻게 보람되게 보내야 할지~
새 해만 되면 많은 사람들이 덕담(德談)을 말한다. 덕담 중에는 “새 해 복 많이 받으시고, 건강하시고, 행복하세요”란 덕담이제일 많지 않을까. 그래, 복 많이 받으란 말 참 좋은 말이다. 복(福)을 한자로 풀이해 보면 재미있다. 보일 시(示)변에 한 일(一)자, 한 일자 밑에 입 구(口)자, 입 구자 밑에 밭 전(田)자로 되어 있다.
뜻을 풀이해 보자. “입(口)으로 들어갈 먹을거리가 있는 밭(田)을 바라본다(示)”라고 설명된다. 한 일(一)자는 한 사람, 한 가족, 한 부족, 내지는 한 나라까지 확대 해석할 수 있겠다. 더 자세히 풀어보자. 먹을거리가 생산되고 있는 밭을 바라보는 한 인간, 한 가족의 모습. 얼마나 흡족하겠는가. 바라만 보아도 배가 부를 것 같다.
사서오경(四書五經) 중 <서경>에 보면 인간의 오복(五福)에 대해 말한 게 있다. 오복은 수(壽), 부(富), 강령(康靈), 유호덕(攸好德), 고종명(考終命)등 다섯 가지이다. 풀어보면 오래 오래 사는 것, 넉넉히 부자로 사는 것, 건강하고 평안하게 사는 것, 도덕을지키기를 좋아하며 사는 것, 제 명대로 살다가 평안하게 죽는 것 등이다.
수천 년이 흐른 예나 지금이나 인간에게 내릴, 그리고 인간이 추구하는 복의 근원은 마찬가지일 것 같다. 아니, 앞으로 다가올 수천 년 후에도 계속해 유지될 인간이 추구하는 복은 서경에서 말한 오복이 아닐까 싶다. 서경이 논한 인간의 오복 중에는 치아(齒牙), 즉 이빨이 건강한 것은 빠져 있는데 그 당시만 해도 치아는 문제가 없었나 보다.
2500년에서 3000년 전에 집필된 구약성서(Old Testament)의 <시편>(The Book of Psalms) 1편에 보면 복 있는 사람을 이렇게 말하고 있다. “복 있는 사람은 악인의 꾀를 쫓지 아니하며/ 죄인의 길에 서지 아니하며/ 오만한 자의 자리에 앉지도 아니하며....” <시편>의 복 있는 사람은 <서경>의 오복 중 ‘유호덕’과 연관이 되는 것 같다.
또 2000여년 전 예수 그리스도의 행적을 그린 신약(New Testament)성경에서 예수께서 말씀한 8복은 이렇다. “심령이 가난한 자, 애통하는 자, 온유한 자, 의에 주리고 목마른 자, 긍휼히 여기는 자, 마음이 정결한 자, 화평케 하는 자, 의를 위하여 핍박을받는 자가 복이 있는 자”라고 선포됐다. <서경>에서 말한 부와 건강과, 오래 사는 것 등과는 거리가 멀다.
<사서오경> 중 <서경>에서 말하는 인간의 5복은 인간의 안위에 복을 더 치중시키고 있다. 그러나 성경에서 말하는 복은 인간의건강과 부함과 오래 사는 것이 복이라기 보다 의롭고, 정직하고, 죄짓지 아니하고, 오만하지 않고, 마음을 가난하게, 온유하게, 긍휼하게, 정결하게, 화평을 추구하는 것이 복임을 나타낸다. 좀 많이 다르지 않은가.
하지만 <서경>에서 말하는 복과 <성경>에서 말하는 복, 두 가지가 다 복에 속하는 것만은 확실하다. 다른 게 있다면 <서경>은좀 현실적인 것, 즉 우리의 몸과 일상에 관한 복이라면 <성경>은 한 인간으로서의 올바르게 살아가야 할 전반적인 삶에 관여된복에 무게를 더 두고 있다. 악인을 피하고, 오만하지 않고, 죄를 짓지 아니하는 것도 큰 복임을 강조한다.
새 해에 주고 싶은 덕담이 더 있다면 ‘하루에 하늘 한 번 보기’와 ‘우리의 근원과 존재에 대해 감사한 마음을 가지는것’ 등이다. 바쁘게 살다 보면 땅만 바라보고 살게 된다. 이렇게 바쁘게 살아가는 것도 참 좋은 거다. 열심히 살아가는 것이기에 그렇다. 그러나 하루에 한 번쯤은 고개를 들어 끝없는 하늘을 바라보며 자신과 세상을 한 번쯤, 다시 생각해 보는 것도 좋지않을까.
우리는 지난 2년 동안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일상은 파괴됐고 수많은 사람들이 세상을 달리하는 초유의 어려움을 당해오고 있다. 금년엔 오미크론이란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 때문에 다시 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런 때 일수록 현재의 건강함이 하늘이 내려 준 큰 복임을 생각하고 순간순간을 감사하며 보람되게 살아야 하겠다.
존재 자체는 아름다움이요 즐거움이다. 우리를 존재하게 하는 근원은 만물을 창조하신 하나님이시다. 수, 부, 강령, 유호덕, 고종명….온유, 긍휼, 정결, 화평을 구하는 복도 우리가 존재하기에 가능하지 않을까. 우리를 존재하게 한 조물주 하나님과 우리를 지탱하게 해 주는 우주와 자연에 감사를 드리는 덕담도 꽤나 괜찮을 것 싶다. “새 해 복 많이 받으세요~”
페이팔로 후원하기